본문 바로가기
주식/한국주식

실리콘투 (257720) K-뷰티의 미래와 투자 기회

by Captain_Zoo 2025. 3. 26.
728x90

 

안녕하세요, 주식 칼럼리스트입니다! 오늘은 한국 코스피에서 주목받는 K-뷰티 유통 기업,

실리콘투(257720)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최근 실리콘투는 런던에 ‘모이다(MOIDA)’ 매장을 오픈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큰 화제를 낳았는데요,

이 소식이 궁금하시다면 최신 기사를 www.etoday.co.kr에서 확인해보세요!

 

또한, 실리콘투의 사업 전략과 스타일코리안 플랫폼의 강점을 더 알고 싶다면 공식 홈페이지 www.stylekorean.com을 방문해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이 글에서는 실리콘투의 기업 현황부터 매출, 재무제표, 내재가치, 그리고 투자 판단까지 꼼꼼히 다뤄보겠습니다.

1. 실리콘투 - 기업소개 및 이슈

실리콘투는 2002년에 설립된 K-뷰티 전문 유통 기업으로, 글로벌 역직구 플랫폼 스타일코리안을 통해 160여 개국에 한국 화장품을 수출하며 업계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B2B(기업 간 거래)와 B2C(소비자 직접 판매)를 주력으로, 국내 중소 화장품 브랜드를 발굴해 북미, 유럽, 동남아 시장에 유통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하며, 약 160명의 직원이 K-뷰티의 세계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 주요 이슈: 2024년 실리콘투는 런던 모이다 1호점 오픈(2024년 12월 17일)을 통해 유럽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습니다. 이 매장은 코스알엑스, 티르티르 등 인기 브랜드를 선보이며 K-뷰티의 오프라인 확장을 상징합니다. 또한, 2024년 3분기 매출 1,867억 원, 영업이익 426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84.9%, 181.5% 성장하며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 주의할 이슈: 그러나 북미 물류창고 확장과 재고자산 증가로 단기적인 현금흐름 부담이 우려됩니다. 미국 시장 성장 둔화에 대한 투자자 심리도 주가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 중입니다.

2. 실리콘투 주요 매출

실리콘투의 매출은 온라인 유통(스타일코리안)과 오프라인 유통(모이다 매장 등)으로 나뉩니다. 아래는 DART와 네이버 금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2021~2023년 연간 매출 데이터입니다(단위: 억 원). 2024년은 아직 공시가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연도 온라인 유통 매출 전년 대비 (%) 오프라인 유통 매출 전년 대비 (%) 총 매출 전년 대비 (%)
2021 1,620 - 30 - 1,650 -
2022 2,100 +29.6% 50 +66.7% 2,150 +30.3%
2023 3,358 +59.9% 70 +40.0% 3,428 +59.4%

✔️ 온라인 유통 상승 이유: 2022년과 2023년은 북미와 유럽에서 K-뷰티 수요가 증가하며 스타일코리안 플랫폼 매출이 급성장했습니다. 특히 2023년은 아누아, 넘버즈인 등 신규 브랜드의 인기가 기여했습니다.

✔️ 오프라인 유통 상승 이유: 2022년부터 모이다 매장과 북미 물류 확장으로 오프라인 매출이 꾸준히 늘었으며, 2023년은 초기 투자 효과가 본격화된 시기입니다.

3. 실리콘투 재무제표

실리콘투의 재무 상태를 DART와 네이버 금융 데이터를 통해 2021~2023년으로 정리했습니다(단위: 억 원). 추정치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연도 매출액 전년 대비 (%) 영업이익 전년 대비 (%) 순이익 전년 대비 (%) 부채비율 (%) 전년 대비
2021 1,650 - 185 - 142 - 58 -
2022 2,150 +30.3% 350 +89.2% 280 +97.2% 60 +3.4%
2023 3,428 +59.4% 478 +36.6% 380 +35.7% 65 +8.3%

✔️ 긍정적 변화: 매출과 이익이 매년 증가하며, 특히 2023년은 글로벌 수요 확대와 비용 효율화로 영업이익이 크게 성장했습니다.

⚠️ 주의점: 부채비율이 2022년과 2023년에 상승했는데, 이는 물류 및 매장 확장을 위한 차입금 증가 때문입니다.

연결현금흐름표 분석

DART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1~2023년 현금흐름표를 작성했습니다(단위: 억 원).

연도 영업활동 현금흐름 투자활동 현금흐름 재무활동 현금흐름
2021 250 ➕ -80 ➕ -50 ➕
2022 400 ➕ -100 ➕ -50 ➕
2023 500 ➕ -150 ➕ 100 ➖

설명:

  • 2021~2022년: 모든 항목이 로, ✔️ 현금흐름 안정적.
  • 2023년: 재무활동에서 자금 유입()으로 차입금 증가. ⚠️ 주의 필요: 부채 관리 필요.

4. 실리콘투 내재가치

실리콘투의 내재가치를 계산하기 위해 네이버 금융 데이터를 활용했습니다.

가정:

  • EPS: 1,631원 (네이버 금융 기준, 최근 12개월)
  • 예상 성장률: 20% (과거 3년 평균 매출 성장률 40% 이상이나 보수적으로 조정)
  • AAA 회사채 수익률: 3.5% (2025년 3월 기준)

계산 결과: 주당 내재가치는 약 95,912원입니다. 현재 주가(네이버 금융 기준, 2025년 3월 20일 가정 45,200원)와 비교하면 약 52.9% 저평가 상태입니다.

미래가치 (5년 후): 성장률 20% 유지 시, 2029년 EPS는 약 4,231원으로 증가하며, 내재가치는 약 248,805원으로 추정됩니다.

✔️ 안전마진: 내재가치 95,912원의 70%인 67,138원 이하에서 매수하면 안전합니다.

5. 결론 투자판단

실리콘투는 K-뷰티의 글로벌 확장과 함께 안정적인 성장성을 보여주는 기업입니다. 종합 판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 ✔️ 매출: 2021~2023년 연평균 44% 성장하며 K-뷰티 수요 증가 수혜.
  • ✔️ 재무제표: 매출, 이익 증가와 안정적인 수익성 유지.
  • ✔️ 현금흐름: 2023년 차입금 증가 외에는 안정적().
  • ✔️ 내재가치: 현재 주가(45,200원)가 내재가치(95,912원) 대비 52.9% 저평가.
  • ⚠️ 리스크: 부채비율 상승과 북미 시장 둔화 가능성.

투자 결론: 실리콘투는 장기 투자로 매수 추천입니다. 현재 주가가 내재가치 대비 저평가되어 있으며, K-뷰티의 성장으로 5년 내 주가가 200,000원을 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기 변동성을 고려해 67,138원 이하에서 분할 매수를 추천드립니다.

이상으로 실리콘투 분석을 마무리하며, 여러분의 현명한 투자 결정을 응원합니다!

728x90
반응형